본문 바로가기

여행

[미국/보스턴] Boston Public Library 보스턴 공공도서관 BPL

보스턴 공공도서관
개관연도: 1854년
도시: 미국/보스턴
주소: 700 Boylston St, Boston, MA 02116, America
홈페이지: https://www.bpl.org/
전화: 1-617-536-5400
시설현황: 중앙도서관(McKim building, Johnson Building)외 24개의 분관
자료현황: 총 자료 수(3,690,000)
이용시간: 월요일~목요일(09:00~21:00), 금, 토요일(09:00~17:00), 일요일(13:00~17:00)

맞닿은 항구도시 보스턴에서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플리머스(Plymouth)는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미국으로 건너온 청교도 이민자들의 첫 보금자리이다. 교육열이 높은 청교도 기풍으로 매사추세츠 주(Massachusetts)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과 하버드 대학교, 매사추세츠 주립대학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학들이 설립되었다. 이런 분위기를 뒷받침하듯 보스턴에는 미국 첫 공립학교인 보스턴 공립라틴어학교와 최초의 공공도서관인 보스턴 공공도서관이 세워졌다.

 

 

미국 첫 공공도서관의 시작

보스턴 공공도서관(BPL, Boston Public Library)은 1848년 매사추세츠 주의회 시행령으로 설립이 추진되어 이듬해 3월 30일, 메이슨 가에 있는 옛 학교 건물을 인수해 미국의 첫 번째 공공도서관으로 개관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보일스턴 가로 잠시 이전되었다가, 1895년 코플리 광장의 새 도서관 건물로 옮겼다. 대중을 위한 도서관이라는 테마로 찰스 폴렌 맥킹(Charles Follen McKim)이 지은 이 건물은 줄곧 한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보스턴 공공도서관은 19세기 중반부터 분관 설립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1872년부터 1900년까지 이어져, 24개 분관이 보스턴 시내 곳곳에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72년 12월 11일에는 존슨(Johnson)관이 추가로 개관되었다. 건축을 맡았던 필립 존슨(Philip Johnson)은 기존에 있던 맥킴(McKim)관의 지붕 윤곽을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지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고 한다. 두 건물은 3층이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편하게 오가며 이용할 수 있다. 맥킴관은 연구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 존슨관은 24개 분관의 중심 센터 기능을 한다.

하나 같은 두 개의 건물

청소년 자료실

맥킴관 중정

하나의 상자처럼 생긴 보스턴 공공도서관은 사실 맥킴관과 존슨관이 붙어있다. 맥킴관 지하에는 회의실 2개가 있고, 신관인 존슨관에는 회의실 3개, RABB 강의홀, ASA 단과대학의 플래닝 센터(Planning center), 크리스틴(Kirstein) 경영 도서관과 기술 강의실이 있다.

맥킴관 1층에는 눈을 편하게 해주는 중정과 오리엔테이션실, 맥킴 전시홀, Guastavino 자료실, 휴게실과 식당, 코먼웰스 살롱(Commonwealth Salon), Leventhal 지도 센터가 있다. 존슨관에는 보스턴 자료실, 레이(Rey) 어린이 자료실, 소설 자료실, 비소설 자료실,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실, 장애인 서비스실 등이 있다.

양과 질을 동시에 잡은 디지털 컬렉션

보스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컬렉션에는 일반 컬렉션과 특별 컬렉션이 있다. 이 양대 컬렉션들의 자료는 도서 및 필사본, 인쇄 자료, 신문, 정부 정보, 지도, 사진, 오디오 자료, 비디오 자료 등으로 구분된다.

보스턴 공공도서관의 일반 컬렉션 중 하나인 '디지털 코먼웰스(Digital Commonwealth)'는 매사추세츠 지역 도서관과 박물관 및 역사단체, 기록보관소 등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 유산의 창작과 관리,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영리 협동 기관으로, 디지털화된 이미지, 문서, 음성 자료 등을 제공한다. 보스턴 공공도서관은 이 디지털 코먼웰스를 통해 총 11개의 디지털 컬렉션을 서비스하고 있다.

Louis Prang & Company Chromolithographs 컬렉션

'Louis Prang & Company Chromolithographs 컬렉션'은 독일인 이민자였던 루이스 프랑의 인쇄소에서 만들어진 작품을 모아놓은 것이다. 그의 인쇄소에서는 다색 석판술(Chromolithographs)을 이용해 고품질의 축하 카드와 유명 미술 작품들의 복제품을 만들어냈는데, 1870년대 이전에는 미국에서 크리스마스 카드를 주고 받는 일이 매우 드물었기 때문에 루이스에게 '미국 크리스마스 카드의 아버지'라는 재미있는 별명이 생겼다.

보스턴 팀의 McGreevey 선수와 아마추어 야구단

'Michael T. "NufCed" McGreevey 컬렉션'은 개인 스크랩북 컬렉션으로 1875년부터 1916년까지의 초기 보스턴 야구팀과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배출된 중요한 야구 선수들과 관련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컬렉션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는 1903년 보스턴과 피츠버그(Pittsburgh)간의 첫 월드시리즈 경기 사진이다. 당시 NufCed라는 별명을 가진 미카엘 T. 맥그리비(Michael T. McGreevey)와 그가 후원하는 아마추어 야구단인 'Royal Rooters'가 함께 찍은 사진이다. 맥그리비는 보스턴 공공도서관에 자신의 야구 사진 컬렉션을 기증했으며, 그 결과 도서관은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야구 초기의 사진 컬렉션을 보유하게 되었다.

로버트 맥클로스키의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주세요” 스케치북 컬렉션

'로버트 맥클로스키(Robert McCloskey)의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주세요” 스케치북 컬렉션'에서는 101점의 스케치 작품을 제공한다. 로버트 맥클로스키는 「샐(Sal)의 블루베리」, 「메인(Maine)에서의 아침」, 「호머(Homer) 왕자」 같은 고전 아동도서 작가이자 삽화가로, 미국에서 해마다 뛰어난 아동도서 삽화가에게 시상하는 칼데콧 상(CaldecottMedal)을 2번이나 수상하였고, 미국 도서관 협회에서도 아동도서 삽화 부문에서 상을 받았다.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주세요」 라는 작품은 로버트의 첫 칼데콧 수상작으로 퍼블릭 가든(Public Garden)에 마련한 새 보금자리로 가기 위해 혼잡한 보스턴 시내를 지나는 귀여운 청둥오리 가족의 여행이 그려져 있다.

여행 포스터 컬렉션

'여행 포스터 컬렉션'은 1920년대부터 1940년대 사이에 주로 만들어진 여행 포스터들을 수집한 것이다. 이때는 미국과 유럽에 기찻길이 놓이고, 타이타닉호 같은 호화 원양 여객선이 속속 등장했으며, 신형 자동차를 타고 여행을 떠나는 일이 잦았던 여행의 황금시대이다. 여행사와 매표소에는 강렬하면서도 시선을 사로잡는 포스터들이 내걸렸고, 포스터에는 여행에 대한 모험심, 아름다움, 흥겨움 등이 한껏 표현되었다. 다른 한 편으로는 여행지들을 홍보하기도 하고, 여러 이동 수단의 새로운 모델들을 광고하는 역할도 톡톡히 해냈다.

전쟁 포스터 컬렉션

'전쟁 포스터 컬렉션'에는 미국의 제1차 세계대전 참전 이후 모병, 후방 지원 독려, 기부활동 촉진, 전쟁 선전 등을 위해 제작했던 포스터들이 있다. 주로 자유의 여신상, 미국 국기, 모병 포스터의 대표적인 캐릭터인 엉클 샘(Uncle Sam), 자유의 종, 미국 정부 건물 같은 애국의 상징물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에서 제공하는 보스턴 공공도서관 컬렉션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는 연구자, 학자, 역사학자, 장애인, 일반인에게 디지털 형태의 역사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자 설립된 비영리 기관으로, 문서, 이미지, 오디오자료 및 동영상, 음반, 웹 페이지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곳에서는 자료의 서지사항은 물론 전문(full-text)을 이용할 수 있다. 보스턴 공공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료로 일반 컬렉션인 정부 역사 정보와 신문 안내책자가 있다. 미국 독립전쟁 필사본 컬렉션, 노예제도 반대 컬렉션, 존 애덤스(John Adams) 도서관 컬렉션 등 특별 컬렉션도 찾아볼 수 있다.